목록전체 글 (136)
Judaeng

Closure(클로저) 클로저의 정의는 외부 함수에 접근할 수 있는 내부 함수 혹은 이러한 원리를 일컫는 용어이다. 클로저 함수 안에는 지역 변수(innerVar), 외부 함수의 변수(outerVar), 전역 변수(globalVar)의 접근이 전부 가능하다. 클로저는 내부 함수가 외부 함수의 지역 변수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아래 코드를 보면, innerFunction()이라는 안쪽에 위치한 함수는 outerFunction()이라는 외부 함수의 모든 변수에 접근 할 수 있는 내부함수를 'Closure' 라고 한다. Currying(커링) Currying(커링)은 클로저를 사용해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커링은 함수 하나가 n개의 인자를 받는 대신, n개의 함수를 만들어 각각 인자를 받게 하는 방법이다. ..

Scope Scope는 한글로 하면 "범위"이다. Javascipt에서도 Scope는 이와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변수 접근 규칙에 유효범위'를 의미한다. 즉, 변수와 변수의 값이 어디부터 어디까지 유효한지 판단하는 범위가 바로 Scope이다. 아래 코드에서 주황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Local Scope(지역 범위)이다. 여기서는 함수가 이 범위를 나누는 기준이 된다. 바깥쪽의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Global Scope(전역 범위)이다. 전역 범위는 모든것을 포함하는 최상단 범위이다. 이렇게 범위를 나누고나서 주의할 점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는 접근이 가능하지만, 바깥쪽에서는 안쪽으로 접근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Local Scope는 Global Scope에 접근이 가..

Javascript 자료형은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나누어 진다. 바로 Primitive Type(원시 타입), Reference Type(참조 타입)을 정리해보자. 두 타입 모두 선언, 할당 과정을 거친다는 점은 동일하다. 그럼 무엇이 다른지 알아보자. Primitive Type Primitive Type은 새로운 변수에 할당할 때, 메모리 상에 고정된 크기로 저장되고 해당 변수가 원시 데이터의 값을 보관한다. 원시 타입 자료형은 모두 변수 선언, 초기화, 할당시 값이 저장된 메모리 영역에 직접적으로 접근한다. 즉 변수에 새 값이 할당 될 때 변수에 할당된 메모리 블럭에 저장된 값을 바로 변경한다는 뜻이다. 처음에 x에 100을 할당하고, 그 x를 y에 할당했다. 이 때 y는 x의 '값'인 100만 복..

✅ Javascript 배열(Array), 객체(Object) 공부 배열이란? [0] [1] [2] [3] [4] 73 98 86 61 96 배열은 순서가 있는 값, 연관된 데이터를 하나의 틀에서 관리하기 위한 자료구조이다. 변수가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라면, 배열은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기 위해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순서는 인덱스라고 부르며, 1이 아닌 0부터 번호를 매기고, index를 벗어나면 undefined의 값을 반환한다.배열은 리터럴 대괄호[]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const arr = []; // 배열 생성(빈 배열) const arr1 = [1,2,3,4] // 배열 생성(숫자를 포함한 배열) const arr2 = ['h', 'e', '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