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evOps (26)
Judaeng

🗺️Jenkins의 등장 배경 Jenkins는 Java로 작성된 CI 서버의 오픈 소스 구현으로, 프로젝트의 빌드 주기를 자동화하는 자체 호스팅 옵션으로 사용할 수 있다.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 및 Windows, Linux 및 macOS를 포함한 여러 플랫폼에서 작동한다. 원래 "Hudson"으로 2006년에 설립된 Jenkins는 최고의 자동화 서버 중 하나이다. 확장 가능한 플러그인 기반 아키텍처 개발자를 사용하여 Jenkins를 다양한 빌드, 테스트 및 배포 자동화 워크로드에 적용하기 위해 수백 개의 플러그인을 만들었다. 2015년 Jenkins는 알려진 설치 수가 100,000 개를 넘어서 가장 널리 배포된 자동화 서버이다. Jenkins의 주요 이점 중 하나는 많은 커뮤니티 지원을 제공하는 잘 ..

S3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전에,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해 잠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클라우드 스토리지란? 클라우드 스토리지란 쉽게 말해서 인터넷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컴퓨터 부품으로 비유하면 하드디스크의 역할을 하는 서비스이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의 장점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 장점으로는 뛰어난 접근성을 가지고 있다.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파일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해당 컴퓨터를 이용해야만 한다. 그러나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이용하면 웹 환경이라면 언제 어디서나 저장된 파일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뿐만 아니라 웹에 접속할 수 있는 다른 전자기기를 활용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우리가 흔히 쓰..

RDS는 Relational Database Service의 약자로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다. 🤷♂️왜 RDS를 사용할까요? EC2가 가상의 컴퓨터를 임대하는 서비스라고 배웠다. 그렇다면 EC2 인스턴스에 MySQL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설치하면 굳이 RDS를 사용할 이유가 없지 않을까? 데이터베이스만 따로 분리해서 서비스를 이용해야 할 이유가 있을까? 어떤 이점이 있는지, 어떻게 쓰는 건지 알아보자. EC2 인스턴스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설치해서 데이터를 관리할 때와 RDS를 통해 데이터를 관리할 때의 차이는 렌터카 회사에서 대여한 차량(RDS)과 개인 소유 차량(직접 설치)으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EC2 인스턴스에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설치하여 데이터를 관..

아마존 일래스틱 컴퓨트 클라우드(Amazon Elastic Compute Cloud, EC2)는 아마존닷컴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아마존 웹 서비스의 중앙부를 이루며, 사용자가 가상 컴퓨터를 임대받아 그 위에 자신만의 컴퓨터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EC2는 사용자가 아마존 머신 이미지(AMI)로 부팅하여 아마존이 "인스턴스"라 부르는 가상 머신을,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게 하는 웹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스케일링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배치(deployment)를 장려한다. 사용자는 필요하면 서버인스턴스를 만들고 시작하고 종료할 수 있으며, 실행 중인 서버에 대해 시간당 지불하므로 "일래스틱"(elastic, 탄력적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된다. EC2는 사용자에게 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