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daeng

Authentication - Session 본문

Develop/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 Session

Judaeng 2021. 4. 19. 00:40

✏️세션(Session)이란?

세션은 쿠키를 기반하고 있지만, 사용자 정보 파일을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쿠키와 달리 세션은 서버 측에서 관리한다.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 ID를 부여하며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접속해서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 인증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접속 시간에 제한을 두어 일정 시간 응답이 없다면 정보가 유지되지 않게 설정이 가능하다.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두기 때문에 쿠키보다 보안에 좋지만,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게 된다.

즉 동접자 수가 많은 웹 사이트인 경우 서버에 과부하를 주게 되므로 성능 저하의 요인이 된다.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보내면, 해당 서버의 엔진이 클라이언트에게 유일한 ID를 부여하는 데 이것이 세션ID다.

 

✏️세션의 동작 방식


1.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 시 세션 ID를 발급받는다.

2. 클라이언트는 세션 ID에 대해 쿠키를 사용해서 저장하고 가지고 있다.

3. 클라리언트는 서버에 요청할 때, 이 쿠키의 세션 ID를 서버에 전달해서 사용한다.

4. 서버는 세션 ID를 전달받아서 별다른 작업 없이 세션 ID로 세션에 있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져온다.

5.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지고 서버 요청을 처리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한다.

✏️세션의 특징


1. 각 클라이언트에게 고유 ID를 부여

2. 세션 ID로 클라이언트를 구분해서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

3. 보안 면에서 쿠키보다 우수

4.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게 됨

 

⚡세션 동작 과정 및 사용 예제

 


  1. 사용자가 로그인 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한다
  2. 서버에서 사용자가 보낸 정보가 존재하는 사용자인지 확인한다.
  3. 존재하는 사용자인 경우 유일한 세션 id를 생성하고 사용자 id와 매핑정보를 저장한다.
  4. 클라이언트에 세션id를 쿠키로 저장하도록 전달한다.
  5. 이후에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 발생 시 서버는 Request Header의 쿠키 정보(세션 ID)를 확인하고 세션 ID와 매핑되는 id의 사용자로 인식한다

세션기반 인증 (Session-based Authentication)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


인증 방식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

쿠키와 세션은 비슷한 역할을 하며, 동작 원리도 비슷하다.

그 이유는 세션도 결국 쿠키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가장 큰 차이점은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위치이다.

때문에 쿠키는 서버의 자원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세션은 서버의 자원을 사용한다.

 

보안 면에서 세션이 더 우수하며, 요청 속도는 쿠키가 세션보다 더 빠르다.

그 이유는 세션은 서버의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보안, 쿠키는 클라이언트 로컬에 저장되기 때문에 변질되거나 request에서 스니핑(snipping) 당할 우려가 있어서 보안에 취약하지만 세션은 쿠키를 이용해서 sessionID 만 저장하고 그것으로 구분해서 서버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비교적 보안성이 좋다.

 

라이프 사이클, 쿠키도 만료시간이 있지만 파일로 저장되기 때문에 브라우저를 종료해도 계속해서 정보가 남아 있을 수 있다. 

또한 만료기간을 넉넉하게 잡아두면 쿠키 삭제를 할 때까지 유지될 수도 있다.

반면에 세션도 만료시간을 정할 수 있지만 브라우저가 종료되면 만료시간에 상관없이 삭제된다.

 

속도, 쿠키에 정보가 있기 때문에 서버에 요청 시 속도가 빠르고,

세션은 정보가 서버에 있기 때문에 처리가 요구되어 비교적 느린 속도를 낸다.

쿠키와 세션 차이점

✏️세션을 사용하면 좋은데 왜 쿠키를 사용하나요?


세션은 서버의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만들다 보면 서버의 메모리가 감당할 수 없어질 수가 있고 속도가 느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쿠키/세션/캐시는 엄연히 다른 것!

캐시는 이미지나 css, js파일 등을 브라우저나 서버 앞 단에 저장해놓고 사용하는 것이다.

이미지 같은 재사용될 것 같거나 용량이 큰 리소스를 임시로 저장해두어서 렌더링 속도를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쿠키/세션과 비슷하지만 목적성에 차이가 있다.

 

세션은 사용자의 수만큼 서버 메모리를 차지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들을 보완한 토큰 기반의 인증방식을 사용하는 추세이다.

그중 JWT(JSON Web Token)을 다음 블로그에서 알아보자

 

 

'Develop > Authenti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thentication - OAuth 2.0  (0) 2021.04.24
Authentication - JWT  (0) 2021.04.24
Authentication - Token  (0) 2021.04.19
Authentication - Cookie  (0) 2021.04.18
HTTPS 알아보기  (0) 2021.04.1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