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daeng

ORM 알아보기 본문

Develop/ORM

ORM 알아보기

Judaeng 2021. 4. 13. 00:56

++자바스크립트 ORM이 아니라 ORM이 무엇인지, 어떤 개념인지 알아보고 공부하기 위해 작성한 것입니다.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로는 TYPEORM, Prisma, Sequelize, BOOKSHELF.JS 등이 있습니다.

 

ORM(Object Relational Mapping)이란?  객체-관계 매핑


ORM 설명 및 사용하는 이유

ORM은 객체(Object)와 관계(Relational)를 연결(Mapping) 즉, 객체-관계 매핑의 줄임말이다.

객체-관계 매핑을 풀어서 설명하자면 우리가 OOP(Object Oriented Programming)에서 쓰이는 객체라는 개념을 구현한 클래스와 RDB(Relational DataBase)에서 쓰이는 데이터인 테이블 자동으로 매핑(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클래스와 테이블은 서로가 기존부터 호환가능성을 두고 만들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불일치가 발생하는데, 이를 ORM을 통해 객체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SQL문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불일치를 해결한다.

따라서 ORM을 이용하면 따로 SQL문을 짤 필요 없이 객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ORM은 Model을 기술하는 도구!

 

ORM의 등장 배경


ORM의 스토리

자바는 객체 지향 패러다임으로 만들어졌다.

데이터 베이스는 관계형 DB 패러다임으로 만들어졌다.

탄생 배경부터가 다른 패러다임을 두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 두 소프트웨어는 어쩔 수 없는 간극이 생긴다. 이것은 굉장히 큰 문제다.

 

문제점 3가지

1. 프로그래머의 업무는 객체를 CRUD 하는 SQL을 만드는 단순 노동이 된다.

2. SQL에 의존적인 개발을 할 수밖에 없다.

3. 프로그램을 객체 지향적으로 설계하는데 데이터베이스가 방해된다.

 

그래서 위에 패러다임의 불일치를 해결하고자 나온 기술이 ORM (Object Relation Mapping) 프레임워크다.

1. 객체는 객체대로 설계한다.

2. DB는 DB대로 설계한다.

3. ORM은 그 중간을 Mapping 해주는 방식이다.

 

그리고 ORM이 등장하기 전까지의 개발 방식이다.

 

1. Model1 개발 방식

설명 : 초기 데이터베이스 개발모델

기능 : JSP, Servlet에서의 persistence layer처리

장점 : 배우기 쉽다. 빠른 시간 내에 개발할 수 있다.

단점 : 복잡도 증가, 유지보수가 어렵고, 비 객체지향적 프로그래밍

 

2. Model2 개발 방식

설명 : MVC 모델에서의 데이터베이스 개발 모델

기능 : DAO, EJB(CMP)를 이용한 Persistence layer 개발

장점 : MVC 모델 적용이 가능하다. 객체 단위의 개발이 가능하다.

단점 : MVC/EJB에 대한 이해도가 필요하다. 유지보수가 어렵다.

 

3. ORM 개발 방식

설명 : Persistence Layer를 담당하는 Framework 개발모델

기능 : iBatis, Hibernate와 같은 persistence를 담당하는 Framework

장점 : 객체지향적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쿼리를 이용하게 business layer에 집중할 수 있다.

단점 : Framework 이해도가 필요하다.

 

✏️ 결국 각 개발 환경에 맞는 적절한 개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게 된다.

 

ORM의 장단점


장점

 

1. 객체 지향적인 코드로 인해 더 직관적이고 비즈니스 로직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도와준다.

  • ORM을 이용하면 SQL문이 아닌 클래스의 메서드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할 수 있어, 개발자가 객체 모델만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을 하는 데 집중할 수 있게 한다.
  • SQL 문을 사용하면서 같이 필요한 선언문, 할당, 종료 같은 부수적인 코드가 사라지거나 줄어들며, 각종 객체에 대한 코드를 별도로 작성하여 코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 객체지향적 접근과 SQL의 절차적/순차적 접근이 혼재되어있던 기존 방식과 달리 오직 객체지향적 접근만 고려하면 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증가한다.

2. 재사용, 유지보수, 리팩터링 용이성

  • ORM은 기존 객체와 독립적으로 작성되어있고, 객체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재활용할 수 있다.
  • 매핑하는 정보가 명확하기 때문에 ERD를 보는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

3.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종속성 하락

  • 객체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SQL문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객체의 자료형 타입까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RDBMS의 데이터 구조와 객체지향 모델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 객체에만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DBMS를 교체하는 큰 작업에도 리스크가 적고 드는 시간도 줄어든다.

단점

 

ORM이 모든 걸 해결해 줄 수는 없다.

  • ORM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편리하지만 그만큼 신중하게 설계해야 한다.
  • 프로젝트의 복잡성이 커질수록 난이도도 올라가고 부족한 설계로 잘못 구현되었을 경우 속도 저하 및 일관성을 무너뜨리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 일부 자주 사용되는 대형 SQL문은 속도를 위해 별도의 튜닝이 필요하기 때문에 결국 SQL문을 써야 할 수도 있다.

객체-관계 간의 불일치


세분성(Granularity)

경우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테이블 수보다 더 많은 클래스를 가진 모델이 생길 수 있다.

 

상속성(Inheritance)

RDBMS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징인 상속 개념이 없다.

 

일치(Identity)

RDBMS는 기본키(primary key)를 이용하여 동일성을 정의한다.

자바는 객체 식별(a==b)과 객체 동일성(a.equals(b))을 모두 정의한다.

 

연관성(Associations)

객체지향 언어는 방향성이 있는 객체의 참조(reference)를 사용하여 연관성을 나타내지만 RDBMS는 방향성이 없는 외래 키(foreign key)를 이용해서 나타낸다.

탐색(Navigation)

자바와 RDBMS에서 객체를 접근하는 방법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자바는 그래프 형태로 하나의 연결에서 다른 연결로 이동하며 탐색한다.

그러나 RDBMS에서는 일반적으로 SQL문을 최소화하고 JOIN을 통해 여러 엔티티를 로드하고 원하는 대상 엔티티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탐색한다.

ORM 프레임워크


JPA/Hibernate

JPA(Java Persistence API)는 자바의 ORM 기술 표준으로 인터페이스의 모음이다. 

JPA 표준 명세를 구현한 구현체가 바로 Hibernate이다

 

Sequelize

Sequelize는 Postgres, MySQL, MariaDB, SQLite 등을 지원하는 Promise에 기반한 비동기로 동작하는 Node.js ORM이다.

Sequelize는 Node.js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ORM이며 MySQL, PostgreSQL, MariaDB, SQLite, MSSQL을 지원합니다.

그 외에도 트랜잭션이나 relation, read replication 등을 지원합니다. 

Sequelize의 가장 큰 특징은 Promise(비동기 작업 제어 방식)를 기본으로 지원해준다는 점입니다.

Promise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복잡한 비동기 코드를 깔끔하고 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한다.
2) Chaining을 통해 값을 전달하거나 연속된 일련의 작업을 처리 할 수 있다.
3) Error handling에 대한 처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이유들로 Node.js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Sequelize를 가장 많이 사용을 하며 실제 Sequelize 또한 Node.js에 가장 특화된 ORM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jango ORM

python기반 프레임워크인 Django에서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ORM이다.

 

 

'Develop > 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TypeORM  (0) 2022.03.08
Sequelize (1) - sequelize와 sequelize-cli, 모델 정의하기  (0) 2021.09.2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