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daeng
GCP(Google Cloud Platform)란? 본문
GCP란 무엇인가요?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oogle Cloud Platform, GCP)은 구글 검색과 유튜브와 같은 최종 사용자 제품을 위해 내부적으로 구글이 사용하는, 동일한 지원 인프라스트럭처 위에서 호스팅을 제공하는 구글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구글의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기반으로 컴퓨트 엔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빅데이터, 머신러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GCP는 12개월 동안 300달러의 크래딧을 제공하기 때문에 제공된 크래딧 안에서 자유로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GCP 이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 Azure, 아마존 AWS 등이 있다.
GCP의 특징엔 무엇이 있나요?
【특징 1】 Google 검색, Gmail, YouTube가 쓰고 있는 인프라를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 가능
Google Cloud Platform (GCP)의 가장 큰 특징은
- 매 순간 수십억 개의 검색 결과를 반환하고 있고
- 한 달에 60억 시간의 YouTube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고
- 4억 2500만여 명의 Gmail 사용자에게 스토리지를 제공하고 있는
Google의 인프라와 동일한 인프라를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특징 2】 인프라에 대한 초기 투자가 필요하지 않음.
안정적인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합니다.
Google Cloud Platform (GCP)을 이용하면 초기 투자를 할 필요 없이 바로 Google의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규모의 경제로 인한 효율성 향상으로 전반적인 IT 비용 절감도 가능합니다.
【특징 3】 사용량에 따라 확장 및 축소 가능
Google Cloud Platform (GCP)은 액세스 및 처리량의 변화에 따른 스케일업, 스케일 다운에 대응합니다.
요금은 종량제이므로 이용하신 만큼만 지불하시면 됩니다.
【특징 4】 인프라를 신경 쓰지 않고 개발에 집중
시스템 관리 및 데이터 센터의 투자·운용을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 설정과 샤드로드 밸런싱을 Google에 맡겨 개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또한 Google은 Eclipse 등의 사용하기 쉬운 개발 도구와 통합되어 있고, API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 및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원하는 대로 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특징 5】 서비스의 선택 및 최적화 가능
가상 머신 관리 플랫폼, BLOB 저장소 블록 스토리지, NoSQL 데이터 저장소, MySQL 데이터베이스, 빅 데이터 분석까지, Google Cloud Platform (GCP) 응용 프로그램 아키텍처에는 필요로 하는 서비스가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징 6】 세계 최고의 인프라
● 세계 최대의 네트워크
Google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혁신적인 중의 하나입니다. 수천 마일의 광섬유 케이블과 고급 SDN (Software Defined Network) 또한 에지 캐싱 서비스를 이용하고 빠르고 안정적인 확장 가능한 성능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 중복
전세계 여러 POP (Multiple Points of Presence)을 배치하여 강력한 중복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는 여러 위치에 있는 스토리지에 자동으로 미러링 됩니다.
● 최신 컴퓨터 과학
MapReduce, BigTable, Dremel 등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의 혁신을 선도해 온 Google의 혁신적인 기술에 보다 빠르게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특징 7】 안정된 성능과 빠른 응답을 제공
● CPU, 메모리, 디스크
Google Cloud Platform (GCP)은 강력한 처리 능력, 필요한 메모리 액세스, 높은 IOPS 성능으로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지연을 줄이고,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영향도 피할 수 있습니다.
● 글로벌 네트워크
Google은 SDN (Software Defined Network) 기술을 사용하여 전 세계에서 패킷을 라우팅 하는 동시에 고속 에지 캐싱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데이터를 자동으로 배치할 수 있습니다. 밀리 세컨드 단위의 지연이 중요하게 된 환경에서 Google은 빠른 콘텐츠 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 침투성이 뛰어난 정비
최신 실시간 마이그레이션 기술을 포함하고 있어, 계획된 유지보수를 실시할 때 가상 머신을 중단하지 않아도 됩니다. 호스트에 패치가 적용되어, 데이터센터 가동 중단으로 고생하지 않아도 됩니다.
GCP의 대표 서비스엔 무엇이 있나요?
Compute
- Compute Engine
-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가상 머신 컴퓨팅 서비스
- App Engine
-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 서버 관리와 구성 배포가 필요 없기 때문에 개발자는 관리 오버헤드 없이 우수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집중할 수 있다.
- Kubernetes Engine
- 컨테이너식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관리형 환경 제공
- 개발자 생산성, 리소스 효율성, 자동화된 작업, 오픈소스 유연성을 가지고 있음
- 구글의 15년간의 프로덕션 컨테이너 클러스터링 시스템 노하우를 통해 가장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Storage and Databases
- Cloud SQL
-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PostgreSQL 및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손쉽게 설정,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완전 관리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 Cloud Storage
- 통합 API를 사용하여 저장소 메커니즘을 앱에 통합할 수 있습니다. 개체 수명주기 관리 기능을 사용하면 네 가지 저장소 범주를 사용하여 비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Cloud Database
-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확장성이 높은 NoSQL 데이터베이스
- 자동 분할 및 복제 처리를 통해 자동으로 확장되는 가용성과 내구성이 높은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해 애플리케이션 부하를 처리
Data Analysis
- BigQuery
- 모든 데이터 분석가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된 Google의 확장성이 뛰어난 기업용 서버리스 데이터 웨어하우스
- 관리할 인프라가 없기 때문에 익숙한 SQL로 데이터를 분석해 의미 있는 유용한 정보를 찾는 데 집중할 수 있다.
- Cloud Dataflow
- 신뢰성과 표현 능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스트림(실시간) 및 일괄(기록) 모드에서 데이터를 변환하고 강화하는 전체 관리형 서비스
- 소스 프로비저닝 및 관리에 대한 서버리스 접근 방식 덕분에 무제한에 가까운 용량을 이용해 대규모 데이터 처리 과제를 해결
- Cloud PubSub
- 스트림 분석 및 이벤트 기반 컴퓨팅 시스템
Networking
- Cloud Load Balancing
- 부하 분산된 컴퓨팅 리소스를 사용자와 가까운 지역 한 곳이나 여러 곳에 배포하여 고가용성 요건을 충족
- Cloud CDN
- 세계 전역에 경계 지점이 퍼져 있는 Google의 망을 활용하여, Google Compute Engine과 Google Cloud Storage를 기반으로 하는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전송 속도 향상
-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낮추고, 원본에 걸리는 부하를 분산하고, 서버 사용 비용을 절감
Artificial intelligence
- Cloud Auto ML
- 제한적인 머신러닝 전문 지식을 보유한 개발자도 Google의 최첨단 전송 학습 및 Neural Architecture Search 기술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맞게 고품질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는 머신러닝 제품
- Cloud Translation API
- 인공신경망 기계 번역을 이용하여 임의 문자열을 지원되는 언어로 번역할 수 있는 간단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
- Prediction API
- Firebase 예측은 Google 머신러닝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예측된 행동을 기준으로 동적 사용자 그룹을 생성한다.
- 예측을 사용하면 사내 데이터 분석팀을 만들 필요 없이 정보를 토대로 제품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정리✏️
GCP는 100개 넘는 제품이 있다고 한다.
데이터에서 가치를 찾아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 크게 4가지 정도이다.
Compute, Storage, Big Data, Machine Learning
특징에는 인프라를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인프라에 시간을 투자할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은 정말 좋은 장점인 것 같다.
물론 더 서비스가 커진다면, 비용이 늘어나지만, 그만큼 장점이 있어서 좋다.
비용을 더 내서 인프라에 신경 쓰지 않고, 개발에 집중도 할 수 있다는 점이 있으니 말이다.
GCP에 대해서 참고했던 사이트✏️
2. 다른사람의 블로그(1)
3. 다른사람의 블로그(2)
'DevOps > GCP'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P를 이용해 'Hello World!' 띄워보기 (0) | 2022.01.13 |
---|